티스토리 뷰

심리학

군중의 탈개인화 및 집단의 특성

경제알리미24 2024. 4. 3. 22:52

목차



    반응형

    이번에는 사회심리학에서 이야기 하는 단순히 여러 사람이 모여  있는 '무리'부터 시작해 나중에 '진짜 ' 집단의 특성과 작용에 대해 알아보자. 가장 넒은 의미에서 집단은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는 2명 이상의 개인으로 구성된다. 물론 이것은 그저 우연히 같은 시간, 같은 장소에 모인 사람의 무리와 구성원들이 목표와 정체성을 공유하는 구조화된 조직을 모두 포함하는 정의이다. 

     

     

     

    집단(군중)과 탈개인화

    집단에 속해 있을때 사람들은 개인적 정체성을 잃고, 그 결과 평송의 가치관과 일치하지 않는 행동을 억제하던 기능이 약해진다. 이 과정을 탈개인화라고 한다. 예를 들어 축구 경기에서 다 함께 구호를 외치는 관중들은 점차 공격적으로 변한다. 

    집단이 구성원을 탈개인화하는 방식은 2가지다.첫째, 군중은 개인적 정체성을 감추어 개인에게 익명성을 부여하고 자신의 행동에 책임감을 덜 느끼게한다. 기발한현장 실험이 있다. 핼러윈 파티가 열리는 날 밤, 시애틀에서 수많은 아이들이 분장을 한 채 사탕을 얻으러 돌아다니는 동안 연구자들은 27가구에 흩어져 아이들을 기다렸다. 연구자들이 기다리던 집 현관의 탁자에는 2개의 그릇이 놓여 있었다. 하나는 사탕이 든 그릇이고 다른 하나는 동전이 든 그릇이었다. 연구자들은 아이들과 인사를 나눈 후 사탕을 1개 가져가라고 말하고 자리를 떴다. 연구진은 숨어서 남겨진 아이들을 지켜보았다. 여럿이 사탕을 얻으러 다닌던 아이들 중에서는 57%가 사탕이나 돈을 더 가져갔지만, 혼자 다니던 아이들 중에서는 더가져간 아이가 21%에 불과했다. 이는 가성과 일치하는 결과로 집단에 섞임으로써 발생한 익명성이 사탕이나 동전을 슬쩍하는 행동에 분명한 영향을 미쳤음을 의미한다. 한편 무리지어 다니던 아이들도 연구자가 이름과 주소를 물어 익명성을 제거한 경우에는 더 가져간 아이의 비율이 21%에 그쳤다. 군중은 또한 구성원들의 주의를 자신과 개인적 가치관에서 다른 곳으로 옮김으로써 탈개인화한다.  두 번째 핼러윈 연구에서 아서 비먼은 사탕그릇 옆에 거울을 놓아두었다. 연구자가 이름과 주소를 물은9세 이상의 아이들 중 거울 조건에 해당한아이들은 사탕을 훔칠 가능성이 더 낮았다. 이로 미루어 보면 거울로 자기 모습을 본 아이들은 객관적 자기의식이 높아져 도둑질을 금하는 개인적 가치관을 외면하기가 어려워진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들은 다른 사람들 사이에 섞일때 나타날 수 있는 문제 하나를 보여준다. 여러 사람들과 함께 있으면 탈개인화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이 연구들에서 단순한 개인들의 무리에서 '진짜'집단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과정도 알 수 있다. 각각의 연구에서 집단 구성원의 첫 행동은 집단을 따르는 나머지 사람들의 행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첫 번째 아이가 훔치면 나머지도 훔칠 가능성이 더 높았고, 첫 번째 아이가 지시대로 하나만 가져가면 나머지도 훔칠 가능성이 더 높았고, 첫 번째 아이가 지시대로 하나만 가져가면 나머지도 긍정적 사례를 따랐다.톰 포스틈스와 러셀 스리어스에 따르면 군중 속에 있는 사람들은 바로 옆에 있는 다른 사람들의 행동에 점점 무감각해진다. 이런식으로 규범이 발생함으로써 군중은 진짜 집단이 된다. 

     

    집단의 특성

    콘서트장에서 춤추는 한 무리의 낯선 사람들과 붐비는 거리에서 서로 지나치는 군중은 다르다. 콘서트에 자주 가는 사람들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므로 집단이 되어가는 초기의 조짐이 보인다. 하지만 상호 영향력은 '집단성'의 많은 특징 가운데 하나일 뿐이다. 진짜 집단은 상호 의존적이고 공통의 정체성이 있으며 안정된 체계를 갖출 가능성이 높다. '진짜'집단의 구성원들은 서로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상호의존성을 가진다는말이다. 공통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서로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집단 구성원들이 상호 의존적이라는 말은 단지 목표가 같다는 의미는 아니다. 예를 들어 민주당과 공화당에 당원으로 등록된 수많은 미국 시민들은 자신이 선호하는 정책을 실현하기 위해 대표를 선출한다는 목표는 같지만, 서로 상호작용을 많이 하지 않고 투표권을 행사함으로써 각자 독립적으로 행동할 수 있다. 집단은 또한 정체성을 가진다. 소속 집단과 자신을 강하게 동일시하는 사람들은 집단의 이익을 위해 열심히 노력하는 경우가 많다. 일례로 집단 정체성이 강한 사람들은 집단에 매우 충성하는 경향이 있다. 집단의 문제를 공공연히 말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고, 엿들을지 모르는 외집단 구성원이 있는 경우에는 특히 그렇다. 또한 개인적으로 집단을 떠나는 편이 유리한 상황에도 다른 가치를 위해 집단을 버리는 일이 상대적으로 적다. 집단은 체계를 세우는 경우가 많다. 집단에서는 구성원들이 명령적 규범. 즉 사회적으로 인정받고 거부당하고 싶지 않다면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기대를 공유한다. 또한 집단은 구성원의 역할을 만들어낸다. 명령적 규범은 모든 구성원이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묘사하는 반면, 역할은 특정한 구성원이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집단의 기대를 말한다. 집단에는 지위 서열도 있다. 이것은 집단 내에서의 사회적 권력과 영향력에 따라 구성원들에게 매긴 순위를 말한다. 체계가 있는 집단에는 대개 탄탄한 의사소통 네트크도 있다. 집단 내에서는이 의사소통망을 통해 정보가 구성원들에게 전해진다. 예를 들어 집단의 의사소통 방식이 집중형 네트워크에 가깝다면 정보가 한 사람에게서 나머지 구성원들에게 동시에 흘러가는 경향이 있다. 반면 분산형 네트워크는 정보가 한 사람에게 집중되지 않고 구성원들 사이에 전해지는 형태이다. 집단의 마지막 특징은 응집력, 즉 집단 구성원들을 뭉치게 하는 힘이다. 집단에 응집력이나 결속력이 있으려면 구성원들이 함께 있기를 즐기거나 집단의 과제에 열성적이어야 한다. 요약하면 안정적인 집단의 특성은 상호의존성, 정체성, 명령적 규범, 역할, 지위 서열, 안정적 의사소통 네트워크, 응집력이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