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아동 마음 발달이해


    피아제의 아동 마음 발달

    난자 상태에서 인간 상태로의 위태로운 여행을 하던 중 어디에선가 의식을 갖게 되었습니다. 그때는 언제였는가? 생후 5개월 유아도 의식적 자각의 동일한 두뇌 신호를 나타냈습니다. 일단 의식을 하게 된 후에는 마음이 어떻게 성장하는가? 발달심리학자 장 피아제는 이 물음에 대한 답을 찾는 데 일생을 바쳤습니다. 그는 아동의 발달하는 인지, 즉 생각하기, 알기, 기억해 내기, 소통하기 등과 연합된 모든 심적 활동을 연구하였습니다. 그의 관심은 1920년에 시작되었는데, 당시 그는 파리에서 아동의 지능검사 문항을 개발하는 작업을 하고 있었습니다. 검사를 실시하면서, 피아제는 아동의 틀린 답에 흥미를 갖게 되었다. 피아제는 특정 연령의 아동이 저지르는  오류가 놀라울 정도로 유사하다는 사실에 주목하였습니다. 다른 사람들은 실수로 간주한 곳에서 피아제는 지능이 작동하고 있는 것을 보았던 것이다. 심리과학이 찾아낸 열매 중에는 그렇게 우연한 발견들이 들어있습니다. 반세기를 아동과 보낸 피아제는 아동 마음이 어른 마음의 축소판이 아니라고 확신하였습니다. 부분적으로 그의 연구 덕분에 이제 우리는 아동이 어른과는 다르게 추론한다는 사실, 즉 어린에게는 자명한 문제를 아동은 심하게 비논리적인 방식으로 추론한다는 사실을 이해하고 있습니다. 피아제 연구는 아동 마음이 신생아의 단순 반사에서부터 어른의 추상적 추리능력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단계를 통해서 발전한다고 생각하도록 이끌어갔습니다. 따라서 8세 아동은 3세 아동이 이해할 수 없는 것을 이해합니다. 8세 아동은 아이디어를 얻는 것은 머릿속에서 전등을 켜는 것과 같은 것이라는 유추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피아제의 핵심 아이디어는 경험을 이해하려는 끊임없는 노력이 인지 발달의 원동력이라는 것입니다. 궁적으로 성숙하는 두뇌는 스키마를 형성하는데, 스키마란 경험을 부어 넣는 심적 주물과 같은 것입니다. 스키마를 어떻게 사용하고 조정하는지를 설명하기 위해서 피아제는 두 개념을 제안하였습니다. 첫째, 새로운 경험을 동화합니다. 즉 새로운 경험을 기존의 스키마에 따라서 해석합니다. 예컨대, 강아지에 대한 단순한 스키마를 가지고 있는 유아는 네발 달린 동물들을 모두 멍멍이라고 부를 수 있다. 그러나 세상과 상호작용하면서 새로운 경험이 제공하는 정보에 적합하도록 스키마를 조절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아동은 곧 원래의 멍멍이 스키마가 너무 광의적이라는 사실을 학습하고는 범주는 다듬어서 조절합니다. 

     

    피아제 이론의 재고찰

    아동 마음에 관한 피아제의 생각 중에서 남아있는 것은 무엇인가? Time이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과학자 20명 중의 한 사람으로 선정하고 영국 심리학자들이 20세기 가장 위대한 심리학자로 평가하기에 충분할 만큼 많이 남아있습니다. 피아제는 중요한 인지적 이정표를 확인해 냈으며 마음이 발달하는 방법에 대한 전 세계적인 관심을 불러일켰다. 그의 강조점은 아동이 전형적으로 특정한 이정표에 도달하는 연령이 아니라 그 이정표의 순서에 있었다. 호주에서부터 알제리와 북미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에 걸친 연구는 인간의 인지가 근본적으로 피아제가 제안한 순서에 따라 전개된다는 사실을 지지해 왔습니다. 그렇지만 오늘날 연구자들은 발달이 피아제가 생각한 것보다는 더 연속적이라고 생각합니다. 각 유형의 사고가 더 이른 시기에 시작하는 것을 발견해 냄으로써 피아제가 놓쳤던 개념적 능력들을 밝혀왔습니다. 나아가서 피아제와 달리 형식논리를 인지의 작은 부분으로 간주합니다. 오늘날 연구자들은 새로운 결과에 부합하도록 그의 생각을 조정하고 있습니다.  미래의 부모와 교사는 다음을 기억하기 바랍니다. 어린 아동은 어른의 논리를 이해할 수 없습니다. 다른 사람의 텔레비전 시청을 가로막는 학령 전기 아동은 상대방의 견지를 받아들이는 것을 아직 학습하지 못한 것뿐입니다. 당신들에게는 자명한 사실, 예컨대 친구와 시소를 타다가 갑자기 내려버리면 반대쪽 친구가 엉덩방아를 찧게 된다는 사실을 3세 아동은 이해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아동은 지식으로 채워지기를 기다리는 수동적인 그릇이 아니라는 사실을 명심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아동이 이미 알고 있는 것에 기반을 두고 구체적인 시범을 해보도록 유도하고 스스로 생각하도록 자극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인지적 미성숙을 적응적인 것으로 인정하라는 것입니다. 아동의 보호자인 어른 곁에 남겨두고 학습과 사회화를 위한 시간을 제공하는 것이 자연의 전략입니다.

     

    대안적 견해 : 레프 비고츠키와 사회적 이동

    피아제가 자신의 인지 발달 이론을 구성하고 있을 당시 러시아 심리학자 레프 비고츠키도 아동이 사고하고 학습하는 방식을 연구하고 있었습니다. 피아제는 아동의 마음이 물리적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성장하는 방식을 강조한 반면, 비고츠키는 아동의 마음이 사회적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성장하는 방식을 강조하였습니다. 피아제의 아동이 어린 과학자라면 비고츠키의 아동은 어린 견습생입니다.  부모와 교사를 비롯한 주변 사람들은 아동에게 새로운 어휘들을 제공하고 개별 훈련을 시킴으로써 아동이 보다 높은 사고 수준으로 뛰어오를 수 있는 일시적인 도약대를 제공한다는 것입니다.  사회적 환경이 너무 쉽지도 않고 너무 어렵지도 않은 최적의 것을 제시할 때 아동은 가장 잘 학습합니다.  비고프키는 사회적 훈련의 중요한 요소인 언어가 사호를 위한 토대를 제공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그는 아동이 7세가 되면 점차적으로 언어로 사고하며 문제를 해결하는 데 언어를 사용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아동은 자기 문화의 언어를 내면화하고 속내말에 의존함으로써 그렇게 한다는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