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귀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귀인 이론이란

    성격심리학자는 개인에게 초점을 맞춥니다. 특정 상황에서 사람들이 상이하게 행동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개인 특질과 역동성을 연구합니다. 사회심리학자는 상황에 초점을 맞춥니다. 동일한 사람이 여러 상황에서 다르게 행동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사회적 영향을 연구합니다. 사회행동은 사회인지로부터 발생하는데 사람들은 왜 상대방이 그렇게 행동하는 것인지를 연구한 후에 프리츠 하이더는 귀인 이론을 제안하였습니다. 즉 사람들은 행동을 개인의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특질에 귀인하거나 아니면 상황에 귀인할 수 있습니다. 사람들은 지속적인 성격 특질을 가지고 있지만 때로는 성격의 영향력을 과대평가하고 상황의 영향력을 과소평가하는 근본적 귀인 오류가 생기기도 합니다. 연구자들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수행한 실험에서 이러한 경향성을 입증하였습니다. 학생들이 한 번에 한 사람씩 한 여자와 이야기를 나누도록 하였는데 그 여자는 냉담하고 비판적이거나 따뜻하고 친절하게 연기하는 실험협조자였습니다. 사전에 절반의 학생에게는 여자의 행동이 자발적인 것이라고 알려주었으며, 다른 절반의 학생에게는 여자가 친근하게 행동하도록 지시받았다는 사실을 알려주었습니다. 사실을 알려준 것이 그 여자에 대한 인상에 영향을 미쳤을까? 전혀 효과가 없었습니다. 두 집단 모두 여자가 친근하게 행동할 때는 정말로 따뜻한 사람이라고 판단하였으며, 냉담하게 행동할 때는 정말로 냉담한 사람이라고 판단하였습니다. 학생들은 그녀의 행동이 상황적인 것이라고 말해주었을 때조차도 즉 그녀는 단지 실험 목적을 위해서 그런 행동을 한 것이라고 알려주었을 때조차도 그녀의 행동을 개인 성향에 귀인하였던 것입니다. 

     

    귀인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와 사람

    귀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중 한 가지는 문화입니다. 서구인은 행동을 개인 특징에 더 자주 귀인합니다. 중국이니과 일본인은 상황의 위력에 더 민감합니다. 큰 물고기가 작은 물고기와 수초 사이를 헤엄치는 것과 같은 장면을 보여준 실험에서 미국인은 큰 물고기의 속성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이는 반면, 일본인은 전체 장면, 즉 상황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였습니다. 두번째 요인은 사람입니다. 자신의 행동을 설명할 때는 행동이 상황에 따라 매우 가변적이라는 사실에 민감합니다. 많은 상황에서 보았던 사람의 행동을 설명할 때도 상황의 위력에 민감합니다. 낯선 사람이 나쁜 행동을 할 때 근본적인 귀인 오류를 범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시합의 열기가 뜨거울 때 얼굴이 벌개져서는 심판에게 야유를 퍼붓는 열성 팬만을 보았을 때는 그가 형편없는 사람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경기장 밖에서 그는 좋은 이웃이며 대단한 부모일지도 모릅니다. 관찰자의 견지를 취하는 것이 자신의 행동을 더 잘 자각하게 만드는가? 이 아이디어를 검증해 보기 위하여 연구자들은 두 사람이 상호작용하는 장면을 별도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녹화하였습니다. 상대방의 조망에서 녹화한 장면을 보여주었을때 참가자는 관찰자가 전형적으로 나타내는 것처럼 자신의 행동을 성향 탓으로 돌렸습니다. 마찬가지로 경찰관의 행동을 그 경찰관 몸에 부착한 카메라의 조망에서 평가할 때 사람들은 상황에 더욱 동조하여 경찰관과 더욱 공감하게 되었습니다. 

     

    귀인이 중요한 이유

    다른 사람의 행위를 설명하는 방식, 즉 개인에 귀인하거나 상황에 귀인하는 것은 실생활에서 중요한 효과를 갖습니다. 따듯한 인사는 낭만적 관심사인가 아니면 사회적 예의인가? 상사의 신랄하기 짝이 없는 지적은 실직 위협을 반영하는 것인가 아니면 나쁜 일진을 반영하는 것인가? 총을 쏜 것은 악의적인 짓인가 아니면 정당방위인가? 한 연구에서 보면 181명의 판사가 공격성과 관련된 두뇌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고 과학자가 증언한 폭력범에게 보다 가벼운 판결을 내렸습니다. 즉 귀인이 중요한 것입니다. 당신은 가난과 실업을 사회적 환경에 귀인하는가 아니면 개인적인 성향과 나쁜 선택에 귀인하는가? 영국, 인도, 호주, 미국에서 보수주의자는 사회 문제를 가난한 사람이나 실업자의 개인 성향에 귀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정치적 진보주의자 그리고 선택의 위력을 생각해보지 않은 사람은 과거와 현재의 상황을 비난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만일 과거와 똑같이 교육환경은 열악하고 기회는 박탈되고 차별받는 상황에서 살아가야 한다면, 도대체 나아질 것이 무엇이겠는가?"

    반응형